만경강에서 수업할 교육계획안과 시나리오 작성법
회의주제 | 만경강에서 수업할 교육계획안과 시나리오 작성법 | |
---|---|---|
주최자 | 손안나/ 로컬콘텐츠연구소 | |
일시 | 2024-06-03 09:30:00 | |
장소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나들목로 338-33 (삼례리, 완주경제센터) 3층 세미나실 | |
회의내용 | 참가자들은 서로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나요? | |
1. 교육계획안 작성법 - 교육목표는 평가가 가능하게 설정한다(ex. ~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를 만들 수 있다 등) - 교육 내용을 키워드로 정리한다 - 교육 내용에 맞는 체험, 놀이, 게임 등을 준비한다 - 시간 배분을 잘 한다(시나리오를 작성한다) - 교육목표와 연계한 평가기준을 제사하고 참여자를 평가한다 2. 교육계획안 작성해 보기 3. 시나리오 작성 방법 - 현장 답사는 반드시 다녀와야 한다 - 현장에서 본 것 중 중요한 키워드를 뽑아낸다 - 주석을 단다 - 주제에 맞는 키 포인트를 찾는다 - 관련 내용을 확장한다(참가자들의 수준을 참작한다) - 스토리 라인을 엮는다 - 시연을 하면서 시간을 체크한다 - 위치와 코스를 확인한다 - 향후 추진계획을 세워 놓는다 4. 시나리오 작성해 보기 |
||
회의 결과의 핵심을 간략하게 요약해주세요! | ||
* 교육계획안은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이므로 설계가 정확할 수록 수업을 하기가 쉽다. * 현장 수업은 반드시 사전 답사를 다녀와서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하며 시연을 통해 내용이 내꺼가 되도록 해야 하며, 시간 내에 수업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시간 조절을 잘 해야 한다. *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이나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지루하지 않게 수업을 할 수 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