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강 주변 쓰레기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회의주제 | 만경강 주변 쓰레기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 |
---|---|---|
주최자 | 김동균 | |
일시 | 2020-08-19 13:00:00 | |
장소 | 전북 완주군 삼례읍 비비정길 73-14 (후정리) 비비정 이야기 | |
회의를 통해 나온 이야기 |
만경강 주변 쓰레기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 |
만경강은 어떤 강인지 알아 보자! 만경강(萬頃江)은 호남평야의 북부를 곡류하여 군산시 남쪽에서 서해로 들어가는 강이다. 2016년 현재 새만금호로 흘러든다.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 원등산 동쪽계곡(밤샘)에서 발원하여 동상저수지, 대아저수지를 이루 고 고산천, 소양천, 전주천 등 여러 지류를 합하면서 호남평야의 북부를 곡류한다. 길이 98km, 유역 면적 1,602km2인데 옛날부터 관개와 수운에 많이 이용되었다. 과거에 신환포· 목천포·사천리·춘포리는 주요 선착장이었는데 특히 출곡기에 많이 이용되었던 곳이다. 바다 와 만나는 곳에서는 현재 새만금 사업이 진행 중이다. 국가하천이며 금강권역 만경강수계이 다. 국가하천 구간은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고산천 합류점부터 전라북도 김제시의 국사봉 산정에서 좀 기울어진 직선까지 국가하천구간이다. 현재 만경강 하구가 새만금 방조제에 막 혀 호수가 되었고, 건설 중인 방수제에 의하여 새만금 방조제까지 강이 길어질 예정인데 2016년 4월 현재 시점에서 하천의 구역은 공식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이다. 2.완주군 내에 있는 만경강 하천 종류를 알아 보자! -전주천: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슬치에서 발원 -소양천: 완주군 소양면 신촌리 만덕산 북쪽계곡에서 발원 -삼천 : 완주군 구이면 백야리에서 발원 최장 발원지는 구이면 안덕리 모악산에서 발원한 계월천이다. -마산천: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 금평리에서 발원 김제시 백구면 마산리에서 만경강에 합류. 10km -석탑천: 봉동읍 제내리에서 발원 삼례읍 석전리에서 우산천에 합류. 10km -삼례천: 봉동읍 성덕리에서 발원 삼례읍 해전리에서 만경강에 합류 8km -우산천: 완주군 봉동읍 은하리 봉실산에서 발원. 장기리에서 천호천과 연결. 삼례읍 삼례리 에서 만경강에 합류. 14km -주치천: 고산면 양야리 서방산에서 발원. 고산면 남봉리에서 만경강에 합류. 7 km -천호천: 비봉면 내월리 천호산에서 발원 고산면 어우리에서 만경강에 합류. 12 km -고산천: 완주군 화산면 운산리 옥녀봉, 함박봉에서 발원하여 고산면 삼기리에서 만경강에 합류. 23km -화전천: 고산면 성재리 오도치에서 발원 성재리에서 만경강에 합류. 5km 3.만경강으로 유입 될 수 있는 쓰레기는 어떤게 있을까? 토의해 본다. -계곡: 물놀이를 하면서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피티병, 물놀이 기구등) -논, 밭 : 농사를 하면서 발생하는 농자재(농약병, 비닐등) -축사 : 가축을 기르면서 발생하는 분료 -마을 :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 ( 담배꽁초, 빨대, 일회용품등) -기타 : 불법투기물 (폐타이어, 폐가구등)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