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내에 설치된 화재대비 시설물이나 집 주변의 화재관련 안전장비등의 역할과 제대로 사용하는 법을 이웃들과 함께 익혀보기
회의주제 | 완주군 내에 설치된 화재대비 시설물이나 집 주변의 화재관련 안전장비등의 역할과 제대로 사용하는 법을 이웃들과 함께 익혀보기 | |
---|---|---|
주최자 | 우은성 | |
일시 | 2024-08-28 00:00:00 | |
장소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화산면 용수번대길 41 (종리) | |
회의내용 | 참가자들은 서로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나요? | |
먼저 불이 난것을 알았을때 행동요령에 대해 알아보기로 함 -첫째,불이야 소리쳐 주변에 알리거나 비상벨누르기 -둘째, 화재상황보고 불을 끌지 대피할지 판단(소화기 사용으로 불 끄거나 계단으로 대피, 완강기 사용등) -안전히 대피후 119에 신고하기 (본인 위치, 현재상황, 부상자 여부 신고후 상황요원 안내에 따라 행동하기) -소화기 사용법: 소화기를 몸통을 단단히 잡고 안전핀 뽑은후 노즐을 잡고 불 가까이 이동하여 분말이 골고루 덮을 수 있게 분사한다 -소화전함 사용법: 2인1조로, 먼저 한사람이 소화전함을 열고 호스와 노즐이 연결되었나 확인후 호스를 길게 늘어뜨려 노즐잡고 방수자세, 이때 다른 한명이 밸브돌려 물 나오는지 확인 후 함께 노즐잡고 돕는다. -완강기 사용법: 지지대 고리에 고리걸고 잠근후 지지대를 창밖으로 밀고 릴을 던진다음 벽을 짚으며 안전히 내려간다 (*완강기옆에 두꺼운 작업용 장갑을 가족수대로 챙겨두면 손바닥 상처없이 완강기를 이용 안전히 내려올수 있다고 함) 옷에 불이 붙었을때는 얼굴 화상방지와 연기가 폐에 들어가지 않게 얼굴을 두손으로 감싸고 바닥에 엎드린 후에 몸을 뒹글어서 불이 꺼지게 함. 내 주변의 소방기기 관리 은연중에 우리를 지켜주고있는 소방시설인 제연설비, 화재감지기, 스프링 쿨러, 주방용 자동 소화기 등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두고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항상 작동 가능하게 준비해둔다. 요즈음 늘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가능하면 가연 인화성물질 보관 장소나 창고, 전기실 기계실등에서 10m이상 떨어진 곳, 또는 창문이나 열린 공간 지상에서 바로 진입가능한 공간에 주차할 것. 차량내부에서 연기 발생시엔 차문 열면 안되고 화재진압이 어렵거나 확산되면 즉시 대피. 방화문 잘 닫을것 화재는 예측 불가능하니 주방이용시 항상 주의를 기울이는게 중요하다며 냄비 태워먹었던 경험들도 함께 이야기 해봄. 외출전 항상 전열기 확인하고 자주 잊는경우는 현관에 적어두면 도움된다는 의견도 서로 나눔. |
||
회의 결과의 핵심을 간략하게 요약해주세요! | ||
1.화재발생시 먼저 주변에 알리고 직접 끌수있는 규모의 경우 소화기, 소화전함 사용법 알아두고 시도하기 (화재감지기, 소화기, 스프링쿨러, 주방용 자동소화기 위치 알아두고 정기점검해둘것) 2.화재 규모가 크면 먼저 안전히 대피한 후 119에 신고(본인 위치, 현재상황, 부상자 여부 신고후 상황요원 안내에 따라 행동하기)-완강기 사용법 익힐것, 몸에 불 붙었을때 대처요령 익히기 3.전기차화재발생시 현장에서 떨어져 119신고, 소화기 (분말소화기가 효과적)사용. 차문 열지말것. 방화문 잘 닫고 대피하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