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내 건강한 육아 문화 정착을 위해 코로나로 인해 위축되었던 공동육아 문제 해결방안과 새로운 육아 방법 찾아보기
회의주제 | 완주군내 건강한 육아 문화 정착을 위해 코로나로 인해 위축되었던 공동육아 문제 해결방안과 새로운 육아 방법 찾아보기 | |
---|---|---|
주최자 | 최지원 | |
일시 | 2021-05-31 17:00:00 | |
장소 | 비대면 | |
회의를 통해 나온 이야기 |
공동육아, 육아방법 | |
위축되어있는 공동육아 문제 해결 방안 1. 기존의 공동육아 방식 대신 소규모로 진행한다. - 코로나의 위험성 때문에 육아 기관들이 문을 닫고 공동육아 또한 거의 중지 되었다. 하지만 아이를 집에 혼자 둘 수는 없으므로 공동육아를 2~3개의 가구끼리 소규모로 진행해야 한다. 2. 이웃이나 기존 공동육아 멤버가 아닌 직계 가족의 도움을 받는다 - 아무래도 이웃이나 기존 공동육아 멤버들과의 공동 육아는 활동의 범위가 더 넓어지고 이로써 코로나의 위험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직계 가족과 공동육아를 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3. 공동육아 모임, 나눔터의 활성화와 신뢰도 향상 - 공동육아가 위축된 문제는 코로나의 문제도 있지만, 계속해서 터지는 육아 기관 내 폭력문제 등 내 아이를 맡길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함도 있다. 완주군 내 공동육아 모임인 ‘숟가락’, 완주군청 인근에 위치한 공동육아 나눔터 등 이러한 곳들이 부모들에게 더욱 신뢰를 쌓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새로운 육아 방법 1. 부모들이 어린이집, 방과 후 수업을 직접 운영 - 어린이집과 방과 후 교실을 집에서 부모들이 운영하면서 서로의 육아 고충을 덜어주고 하교 후 갈 곳 없는 아이를 맡길 수 있다. 이에 아이들이 돌봄에서 소외되는 일이 줄어든다. 2. 마을 조합형 육아 공동체 운영 - 위의 방안에서 더 나아가 원장이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것이 아닌 부모들이 공동출자해 어린이집과 방과 후 교실 운영을 전담하는 방식이다. 코로나로 인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같은 부모들이 운영하므로 더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3. 랜선 육아 모임을 만든다. - 직접 만나는 육아 모임이 힘들기 때문에 랜선으로 만나는 육아 모임을 만들면 전과 같이 육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 |